색채의 삼속성과 삼원색과 혼색을 공부하며 색채의 특성을 알아보자.
1색채의 삼속성 우리가 색채를 보고 느끼는 요인에는 세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빛의 파장 자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상 (hue) 이고 두 번째는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명도(value)이고 세 번째는 색파장의 순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채도(chroma)요인이다. 어떤 색상을 지각할 때 항상 이 세 가지 요인을 함께 느낀다.
1)색상 색상은 물체의 표면에서 선택적으로 반사되는 색파장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며 빨강, 주홍,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으로 구분된다. 색상은 순수한 색일수록 현저하게 드러나므로 지각하기 쉽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색이 혼합이 된 경우에는 색상이 강하 게 드러나지 않아 지각하기가 쉽지 않지만 무채색인 흰색, 검정색, 회색을 제외한
모든 색은 순색이 지닌 색상을 조금이라도 지니고 있다. 섬세한 색채 작업을 위해서는 100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구분해 볼 수도 있지만, 여러가지 색체계에서 통용되는 색상의 수는 대략 40가지 정도이다.
2)명도 물체의 표면이 모든 빛을 흡수하면 검정색으로 보이며 우리는 이 검정색을 어둡다고 느낀다. 이처럼 빛이 반사하는 양에 따라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느끼는 것이 명도이다. 명도는 밝고 어두움을 말하지만 주어진 광원을 중심으로 반사의 정도를 말할때 에는 명도를 밝기(lightness)라고도 표현한다. 같은 명도의 색이라도 주어진 광원의 밝고 어두운 정도에 따라 명도가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최고 채도의 순색은 각기 다른 명도 를 갖는다. 노란색은 가장 밝게. 다음은 주홍이며 빨강과 초록은 중간정도의 밝기이고, 보라와 파랑은 어둡게 느껴진다.
3)채도 색파장이 얼마나 강하고 약한가를 느끼는 것이 채도이다. 그것은 여러 가지 색파장이 혼합되어 물체의 표면에서 흡수되거나 양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것으로 특정한 색파장이 얼마나 순수하게 반사되는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채도는 순도(saturation),또는 강도(intensity)라고도 표현하다. |